
전기자전거, 비 맞았을 때 이렇게 관리하세요
갑작스러운 소나기나 장시간 이어진 비바람에 전기자전거가 흠뻑 젖었다면, 단순히 마르는 걸 기다리기만 해서는 곤란합니다. 배터리, 모터, 컨트롤러 등 주요 전기 부품에 습기가 남아 있으면 부식·합선·오작동으로 이어질 수 있는데요. 비 맞은 전기자전거를 안전하게 관리하는 법, 최적의 건조 방법, 체크리스트, 그리고 예방 관리 팁을 안내해 드립니다.
목차
비 맞은 직후 즉시 조치 사항
배터리 및 커넥터 점검·건조 방법
모터·컨트롤러 보호·점검 요령
전체 프레임·구동계 세척 및 건조 팁
장기적인 예방 관리 및 보관 전략
1. 비 맞은 직후 즉시 조치 사항
전원 차단 및 배터리 분리: 사고 방지를 위해 먼저 전원을 끄고 배터리를 즉시 분리합니다.
대략적 물기 제거: 부드러운 마른 천으로 프레임, 배터리 접촉부 주변의 물방울을 빠르게 닦아 냅니다.
그늘에서의 1차 건조: 직사광선을 피한 실내 또는 그늘에 세워, 자연 건조로 겉면 습기를 최대한 제거합니다.
2. 배터리 및 커넥터 점검·건조 방법
커넥터 청소: 배터리 단자와 자전거측 배터리 포트를 멀티미터로 단선 점검 후, 압축 공기나 알코올 솜을 이용해 잔여 습기와 이물질을 제거합니다.
배터리 건조: 분리한 배터리는 털어서 물기를 제거하고, 통풍이 잘 되는 실내에서 1~2시간 방치해 내부 수분을 최소화합니다. 필요 시 헤어 드라이어의 찬바람으로 추가 건조.
충전 전 확인: 완전히 마른 이후에만 실내에서 충전기를 연결하십시오. 실외 충전은 절대 금지합니다.
3. 모터·컨트롤러 보호·점검 요령
모터 외관 청소: 브러시나 마른 천으로 모터 하우징의 물기를 제거하고, 물방울이 고이기 쉬운 방열 구멍을 점검합니다.
컨트롤러 점검: 컨트롤러 부위도 압축 공기로 습기를 날리고, 알코올솜으로 커넥터를 닦아 준 뒤 2시간 이상 건조하세요.
이상 징후 모니터링: 건조 후에는 시동을 걸어 모터 소음, 출력 반응, 디스플레이 에러코드를 확인하며 정상 작동 여부를 검토합니다.
4. 전체 프레임·구동계 세척 및 건조 팁
세척 전 준비: 배터리·모터·컨트롤러 모두 분리한 상태에서 세척을 시작합니다.
세척 방법:
일반 세차: 물을 분사하되 고압 세척기 사용은 금지, 부드러운 스펀지·자전거 전용 세정제 사용.
체인·브레이크: 전용 체인 클리너로 체인을 닦아 내고, 디스크·패드도 잔여 물질 제거 후 완전 건조.
전체 건조: 세척 후 자전거를 털고 난 뒤, 통풍이 잘 되는 실내에서 최소 6시간 이상 건조. 휠·구동계는 휠 스탠드에 걸어 틈새 수분까지 날립니다.
5. 장기적인 예방 관리 및 보관 전략
방수 액세서리 활용: 방수 스프레이·테이프·커버를 정기 도포해 습기 침투를 차단합니다.
정기 점검: 월 1회 배터리 단자·케이블·모터 밀폐 상태를 점검하고, 실리콘 그리스로 코팅해 부식 예방.
적절한 보관: 습기가 적은 건조·서늘한 실내에 보관하며, 장시간 보관 시에는 배터리 잔량을 50% 정도로 유지해 바테리 수명도 보호합니다.
[무단 전재, 재배포 금지]

